경제관련

[딱 정리] 자연 헷지란? Natural hedge의 의미와 예시!

꿈꾸자인생 2024. 8. 13. 06:00

자연헷지, natural hedge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오늘은 natural hedge란 용어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볼까 해요. 

 

Natural hedge, 자연헷지 란?

 

natural hedge는기업이 금융 파생상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업 구조나 사업 운영 방식을 통해 환율, 금리, 상품가격 변동 등에 의한 재무적 risk를 상쇄시키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금융이나 재무 등 비즈니스 여러 부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반대말로는 financial hedge 입니다. 즉 financial hedge는 파생상품(선물, 옵션, 스왑 등)을 구입해서 재무적 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파생상품의 근본적인 존재 목적이 바로 이러한 기초자산에 대한 변동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함이기 때문입니다. 자연헷지의 예를들어 볼께요.

 

 

1. 포스코의 철광석 광산 보유

포스코가 해외 호주등에 철광석 광산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철광석 가격이 오르면 철광석을 연료로 철은 만드는 포스코는 원재료 값이 올라간 것이니 마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철광석 광산을 보유하고 있기때문에 반대로 철광석 가격 상승은 철광석 사업 손익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포스코 입장에서보면 철광석 가격 상승으로 인해 생산한 철의 이익은 줄어들 수 있지만 철광석 판매로 인한 이익은 늘릴 수 있으므로 철광석 가격 변동에 의한 재무적 리스크를 철광석 광산 보유를 통해 자연헷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2. 대한항공의 S-oil(에쓰오일) 지분 보유

대한한공과 S-oil의 관계도 그렇습니다. 과거 대한한공은 한진에너지라는 자회사를 통해 에쓰오일의 주식을 보유했었는데요, 기초자산인 유가가 오르면 대한한공 입장에서는 항공편을 운항할 연료 가격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익 측면에서 불리해집니다. 하지만 S-oil 쪽은 좋겠죠. 제품 가격이 올라가니까요. 따라서 지분 보유를 통해 지분법 이익을 수취할 수 있는데요, 대한항공의 여객사업의 원가 증가로 이익이 줄더라도 관계사인 에쓰오일을 통해 지분법 이익이 증가하니 전체 sum 은 natural hedge가 되는 것입니다. 

 

 

 

 

3. 글로벌 기업들이 현지 공장을 짓는 이유 

도요타와 같은 글로벌 기업은 미국 내 현지 생산공장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미국 엔-달러간 환율변동에 의한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일본 내에서 생산한 차량을 있다고 생각해볼께요. 만약 이 차를 미국에 수출한다고 했을 때, 엔-달러 환율이 올라가는 상황에서는(달러가치의 상승 발생) 매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엔-달러 환율이 떨어지면, 매출이 반대로 감소할 수 있죠. 

 

 

하지만 만약 미국 현지 법인 공장을 짓는다면 어떨까요? 현지에서 공장을 운영하며 생산한 차량을 미국 시장에 판매하는 상황인 것입니다. 비용과 매출 모두 USD로 발생되겠죠. 모든 비용과 수익이 동일 통화로 이루어지므로 환율 변동에 대한 리스크가 줄어듭니다. 물론 현지에서 발생된 USD를 본사에 엔화로 송금할때에는 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현지 운영 자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또한 환율이 안정될때까지 현지 통화로 계속 보유할수도 있고요. 

 

 

정리하면 수출기업의 환율 하락은 매출에 있어 risk가 될 수 있으나, 현지 공장 설립을 통해 생산 및 판매를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환율 변동 risk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이는 곧 환율변동 risk에 대한 natural hedge가 됩니다. 

 

 

4. value chain상 자연헷지

이 밖에도 A라는 기업의 value chain 상에 원재료 수급에 있어서는 기초자산에 의해 영향을 받더라도, 최종 판매 제품에도 역시 동일한 영향을 준다면 이는 자연헷지되는 상황이 됩니다. 예를들어 어떠한 A라는 기업이 DNA 분석기업인데 분석장비를 돌리기 위해서는 원재료로 시료가 필요합니다. 이 시료를 B라는 기업이 과점하고 있는 상태라고 하겠습니다. 그런데 DNA분석 시장 자체의 특징이 만약, 시료 값에 따라 분석가격 또한 탄력적으로 변동되는 구조의 시장이라고 한다면 비록 B가 시료값을 올린다고 하더라도 value chain상 후단인 전방산업에 제품을 판매할때도 제품 판매가격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자연헷지 되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판매 제품의 포트폴리오를 시료값에 탄력적인 제품으로 조정함으로써 natural hedge를 더욱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요 

 

 

5. 원재료를 수입하는 수출기업 

마지막으로 원재료를 수입해 사용하지만 그만큼 또 수출하는 기업이 있다고 해볼까요? 환율 증가시 원재료 수입비용이 증가하지만 제품의 수출 판매액은 늘어납니다. 이 역시 자연 헷지되는 상황이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를 위해 환율 변동시점에 수출을 늘리는 것이 자연헷지의 한가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유의사항**

이 블로그의 모든 포스팅은 '개인적인 이해를 통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작성된 내용에는 저의 개인적인 의견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타 정보들과 비교해보시고 본 포스팅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해당 정보로 인해 발생되는 어떠한 불이익에 대해서도 책임지지 않는다는 점 유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