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 주주명부폐쇄, 기준일에 대해 정확히 알고 넘어가자.(명의개서정지, 주가영향까지)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이번에는 주주명부폐쇄, 주주명부폐쇄기간, 기준일에 대한 내용을 공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연관포스팅 1. [공시] 주주명부와 실질주주명부 차이, 명의개서란 무엇일까? 주주명부폐쇄 (=주식명의개서정지) 앞선 글에서 주식 매매를 통해 주식의 소유자가 바뀌게되면, 주주명부에서 명의개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상장법인의 특성상 수십만주 이상의 유통주식수에서 주식 매매거래가 수시로 이루어 지면서 주주들의 변화가 발생됩니다. 만약 기업이 주주들에게 이익배당을 하거나 무상증자를 하거나, 혹은 주주총회를 열어 의결권을 부여하고자 한다면, 이렇게 수시로 바뀌는 주주들 중 누구에게 권리를 주어야 할까요? 이렇듯, 권리주주를 확정하기 위해, 기업들은 특정 기준일을 정하여 그 기준일 전..
M&A 방식,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주식양수도의 차이점과 의미 장단점 싹 정리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M&A는 기업 인수합병을 의미합니다. M&A의 방식에는 크게 합병,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주식양수도의 방식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중,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주식양수도 이 세가지 M&A 방식에 무엇인지와 이에 대한 장단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들어가기 전. - '양수도'의 의미는? 어떠한 목적물을 넘겨준다면 양도, 받아온다면 양수가되는데요, '양수도'란 양도와 양수를 모두 아우르는 말입니다. 만약 목적물로 자산을 양수도 한다면 '자산양수도', 주식을 주고 받는다면 주식양수도, 어떠한 사업을 주고 받는다면 '영업양수도'라 구분합니다. 1. 자산양수도란? 장점과 단점은? 자산양수도는 M&A시,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을 선택적으로 양수도 하는 거래방식입니다. 필요한 자산만 특정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