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84

[딱 정리] 합명회사, 합자회사, 주식회사, 유한회사, 유한책임회사 차이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상법상의 분류되는 회사의 종류에 대해 아시나요 ? 사실 기업이라하면 주식회사만 알았지, 합명회사와 합자회사 같은 기업은 어디선가 그 이름만 들어봤을뿐 알아야할 필요성을 느끼지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투자와 관련된 일을 하다보면 특히 유한책임회사(LLC)에 대해 알아야할 필요성이 있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상법상 회사의 종류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연관포스팅    [딱 정리] 인적회사와 물적회사란 무엇인가? 특징과 장단점 이것으로 끝.[공시] 주주총회 특별결의 보통결의 요건, 의결정족수 의사정족수[공시] 주주명부폐쇄, 기준일에 대해 정확히 알고 넘어가자.(명의개서정지, 주가영향까지)M&A 방식,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주식양수도의 차이점과 의미 장단점 싹 정리[공시] 주주명부와..

경제관련 2024.07.30

NDC? 란 대체 무엇일까? (feat. 탄소배출권거래제)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기후변화위기에 있어서 NDC라는게 뭔지 아시나요 ? 오늘은 NDC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NDC의 의미 NDC는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의 약자입니다. 직역하면 국가별 결정된 공헌. 정도로 볼 수 있는데요, 이는 바로 '파리협정'에서 각 국가별 수립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파리협정'은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감을 전세계가 공감하고 이에 함께 대응하기 위해 2015년 COP21에서 채택한 국제적인 기후변화 협약인데요, 파리협정의 목표는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을 2도 이하로 억제하고, 나아가 1.5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이를 이루기 위해 각 참여국들은 자발적으로 온실가스감축 목표를 수립..

ESG 2024.07.23

지구 온난화는 구체적으로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 오늘은 지구온난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볼께요. 지난 시간에 '파리협정'에 대해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의 연장선상으로 이번 글을 통해 지구 온난화가 얼마나 위협적인 녀석인지를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연관포스팅    1. 2024.07.07 - [ESG] - 파리협정이란 무엇일까? 각국의 목표와 강제성, 의의까지 총정리 해보자.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관계 지구온난화는 단순히 기온이 올라가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지구온난화는 전체적인 기후 시스템을 복잡하게 해서 다양한 기후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첫 째, 지구온난화는 강수량을 증가 시킬 수 있습니다. 기온이 상승하면 따뜻한 공기는 더 많은 ..

ESG 2024.07.16

파리협정이란 무엇일까? 각국의 목표와 강제성, 의의까지 총정리 해보자.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오늘은 '파리협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합니다.  파리협정은 지구온난화에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각 국가간 노력의 결실이라 하는데요, 전체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내용들 모아서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파리협정이란? (Paris Climate Agreement) 파리협정은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에서 채택된 국제적인 기후 변화 협약입니다. 전 세계 196개국이 참여하였다고 해요. 이는 전세계 거의 모든 국가가 참여 한것과 다름없는데요, 이 협정의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을 2도 이하로 억제하고, 나아가 1.5도 이하로 유지하기 위한 목표를 제시합니다. "지구 온난화? 그거 우리 모두의 문제야!" 라는 공감대에..

ESG 2024.07.07

[딱 정리] 에너지와 일의 차이, 단위가 같은 이유까지 쉽게 설명!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각 산업을 이해하는데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꼭 필요한 내용들로 딱 정리하는 '딱정리' 포스팅입니다.    에너지, 열량, 칼로리다들 이해 가시나요 ? 에너지란, 물리학에서 '일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그런데 일이란 물체에 힘을 가해 이동시키는 것이라 하고요. 일과 에너지의 단위는 모두 J[줄]이라는 단위를 쓴다고 하네요.  열량이란, 물체가 주거나 받는 '열의 양'을 말한다고 합니다.그런데 이것은 곧 '에너지의 양'이라 하네요.그리고 열량의 단위로는 보통 칼로리를 쓴다고 합니다.  모두 무슨 의미일까요. 쭉 이어가 보죠.    '일'이란, 물리학에서 일의 의미 '물리학'에서 '일'은 Work라 하며 약자로 W라 합니다. 그리고 물리학에서의 일이란 '물체에 힘을 가해 이..

[딱 정리] 열가소성과 열경화성 의미와 차이는? 이렇게 정리하자.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각 산업을 이해하는데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꼭 필요한 내용들로 딱 정리하는 '딱정리' 포스팅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열경화성'과 '열가소성'의 의미와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열경화성, 열가소성 무슨 의미이지? 가소성이란? 지난 시간 '합성수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수지' 즉 합성수지와 천연수지의 성질 중에는 가소성이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아직 보지 못하신 분들이 있다면 우측을 클릭 해주세요. ▶ 클릭 ) 열 등의 어떠한 외력이 가해지면 형태가 변하며, 이후 가하였던 외력이 사라진다 하더라도 다시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성질을 바로 '가소성' 이라하였고 이는 수지가 가진 중요한 성질 중 하나였습니다. '가소성'이란 영어로 plasticity 입니다. 플라스틱과..

[딱 정리] 합성수지란? 플라스틱과 차이는? 이렇게 정리하자.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각 산업을 이해하는데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꼭 필요한 내용만 딱 정리하는 '딱정리' 포스팅입니다. 합성수지의 의미 (systhetic resin) 1.수지란 무엇일까? 합성수지란 무엇일까요? 합성수지란 영어로 'synthetic resin'이라 합니다. 여기에서 resin을 '수지'라고 하는데요, '수지'는 한자어로 樹脂으로 '나무수 + 기름지'로서 '소나무와 같은 잎이 뾰족한 '침엽수'에 상처를 냈을때 분비되는 끈끈한 액체인 송진 등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resin을 '천연수지'라고 합니다. 즉 '수지'는 천연수지와 합성수지'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죠 [정리] - 수지는 영어로 '레진, Resin'인데, resin은 '소나무의 송진 등을 의..

[책 리뷰] 돈의 속성 - 김승호 : '부자의 단서를 찾다'

'돈의 속성'이란 책을 집은 이유 저는 책을 그리 많이 읽는 편이 아닙니다. 오히려 책과는 거리가 멀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제가 책을 찾을 때가 있는데 그건 뭔가 앞이 보이질 않을 때. 혹은 제가 바라는 삶에 다가갈 수 없을 것 같은 절망감에 사로잡히려 할 때 입니다. '돈의 속성'이란 책을 집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장 생활만으로 도무지 나아질것 같지 않은 생각에 부자들의 비법을 간접적으로라도 알고 싶었습니다. 무작정 돈을 모으고는 있는데, 지출을 줄이고 계획한 예산 내에서 통제된 삶을 살아가는 순간 순간이 재미없고, '의미가 있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부자 개개인들이 갖고 있는 엄청난 비법, 기술 등을 그냥 주워먹기 위해 책을 집은건 아니었습니다. 그냥 이 책 속에 이 어둡..

도서후기 2024.04.15

이차전지에서 음극재란 무엇일까?! A-Z까지 차근차근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 이차전지의 value chain은 아래와 같습니다. 배터리 셀을 만드는 데 소재, 공정, 검사, 공정자동화 장비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주전자재료는 배터리셀의 '소재' 기업으로 '음극재' 소재 관련 기업입니다. 따라서 오늘은 음극재가 무엇이고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기초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연관포스팅 2020.09.25 - [기술,산업] - 이차전지의 충전과 방전 원리. 이것으로 끝. (리튬이온이차전지 배터리 원리!) 2020.09.18 - [기술,산업] - 이제 모든 이해 끝!!! 배터리용량, 에너지양, 에너지 밀도의 차이 정리! 2020.09.07 - [기술,산업] - 딱 네 가지로 끝. 리튬이온 이차전지 구조와 역할!? 2020.09.03 - [기술,산업] - ..

기술,산업 2024.03.31

[부동산] 부동산 전세 계약 진행 단계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정리남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전세 계약시 진행 순서를 알아보려 하는데요, 경험을 기반으로 작성하므로 개인별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전세 계약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임대인 기준) 부동산 전세 계약시 진행 순서 (임대인기준) 1. 전세계약 만료 3개월 전 기존 임차인의 전세 연장 여부 확인 - 문자를 통해 기존 세입자가 전세를 연장할지 말지를 확인합니다. 2. 기존 전세계약 만료 3개월 전 부동산 컨택. - 만약 기존 세입자가 전세 연장을 하지 않고 나가겠다고 한다면, 전세계약 만료 3개월 전쯤에 부동산에 연락하여 전세 매물 등록 요청을 해야합니다. 이때에는 전세 금액을 얼마나 올릴 것인지 임대인이 의견을 주어야 합니다. 기존 임차인이 계약갱신 청구권 사용으로 2년을 그대로 연장하는 상..

부동산 정보 202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