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관련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손익계산서와 연결, 의미 등

꿈꾸자인생 2020. 1. 27. 11:21

이익잉여금의 기초적인 이해

 

 

 

정리 남입니다!

지난 시간 삼성엔지니어링이라는 기업의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을 살펴보았습니다.

오늘도 이어서 재무상태표를 좀 더 보겠습니다. 

 

 

연관포스팅↓↓↓↓

2020/06/16 - [DART 기업분석] - 기업회계 재무제표에서 현금흐름표는 왜 필요할까? (feat. 발생주의, 현금주의)

2020/04/22 - [DART 기업분석] - 이연법인세 부채 의미와 필요성 그리고 분석 포인트 쉽게 알아보자!

2020/01/30 - [DART 기업분석] - 연결 재무제표? 지배회사 종속회사 관계회사 함께 쉽게 알아보자!

2020/01/30 - [DART 기업분석] - 재무제표에서 영업권이란 무엇일까?! 의미와 공식까지!

2020/01/28 - [DART 기업분석] - 자기자본이익률 ROE 무엇이지? 재무제표와 함께 알아보자!

2020/04/30 - [DART 기업분석] - 회계에서 이연법인세자산 의미와 필요성 그리고 효과 (분석포인트) 쉽게 알아보자!

2020/01/19 - [DART 기업분석] - 기업가치평가 지표 EBITDA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자!

2020/01/19 - [DART 기업분석] - EBITDA 의 의미는 대체 무엇인가? 감가상각비와 함께 알아보자 -1

 

 

 

 

재무상태표는 자금의 운용을 보여주는 단면도


재무상태표는 어떻게 자금이 조달되어, 조달된 자금은 운용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면도입니다. 어떻게 자금이 조달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직관적으로 남의 돈을 빌려 쓴 것과 내 돈이 있을 것입니다. 남의 돈을 타인자본이라 하며 이것은 채권자의 것이 되고 내 돈은 자기 자본(순자산)이라 하며 이것은 주주의 몫입니다. 이렇게 타인 또는 주주들로부터 끌어모은 돈을 어떻게 사용할까요?

 

 

 

당연히 기계장치도 사고 공장 건물도 짓고, 제품도 만들어 내고, 현금으로 보유하기도, 금융상품에 투자하기도 하면서 모아둔 자금을 운용하겠죠. 이 자산을 모두 현금화하면 결국 주주와 타인으로부터 끌어 모은 돈과 동일할 거예요. 즉, 자산 = 부채(타인자본) + 자본(자기 자본, 순자산)이라는 등식이 성립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자본을 순자산으로 하는 이유는, 자산에서 부채만 빼면 자본이 되니까 자본은 결국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수한 것이다.라는 의미에서 이렇게 사용한다고 하네요. 여기까지가 지난 시간까지 제가 공부했던 내용입니다. 

 

 

 

 

 

이익잉여금과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연결관계

 

 

다시 재무 상태표로 돌아와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오늘 다루고 싶은 이야기는 바로 '이익잉여금'이런 녀석이에요. 현재까지 제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익잉여금은 '기업에서 손익이 발생하면 이러한 손익들을 과거에서부터 지금까지 차곡차곡 누적해서 쌓아놓는 커다란 금고'입니다. 따라서 이것을 보면 기업의 누적손익이 얼마만큼인지 알 수 있는 거고요, 당연히 크면 좋겠죠!? 한편, 기업이 1년 동안 영업활동을 통해 얼마를 벌었는지를 나타 내는 지표가 '손익계산서'라고 했습니다. 이익잉여금과 이 손익계산서 사이에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다리(bridge)'가 있다고 합니다. 좀 더 설명해볼게요.

 

 

 

기업에서 어떠한 거래가 발생되면 회계상으로 각종 숫자들을 입력하겠죠. 당연히 그 회사가 의사결정을 하거나, 다양한 정보 이용자들에게 재무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는 작업일 것입니다. 이렇게 매 거래에 의해서 변동되는 숫자들을 입력하는 행위를 '전표 투입한다'라고 한데요. 전표 투입을 하게 되면 손익계산서상의 맨 마지막 항목으로 있는 당기순이익이 재무상태표 상의 '보이지 않는 다리'를 통해서 쭉 이동되어서 종국에는 재무제표 상의 이익잉여금이라는 금고 안으로 착! 하고 들어가게 되는 것이죠. 즉, 이렇게 재무상태표와 - 손익계산서는 시스템적으로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정리)

1. 이익잉여금은 기업의 과거부터 발생된 손익을 누적해서 쌓아놓는 금고 같은 곳이며, 클수록 좋다!

2. 손익계산서에서 당기순이익이 발생되면 이 정보는 재무상태표의 자본 내 '이익잉여금'으로 들어간다. 이렇게 이 둘은 상호 연결된다. 

 

 

 

 

 

회계상 자산이 불어나는 절차


자산이 불어나는 절차

 

 

여러분. 손익계산서상에 온갖 비용을 다 빼고 100% 순수하게 남은 이익을 '당기순이익'이라 합니다. 가령 기업이 부채와 자본으로 조달한 돈으로 이것저것 자산을 매입해서 영업활동을 통해 수익을 냈습니다. 이 수익은 최종적으로 당기순이익으로 귀결될 것인데 이것이 왜 자본으로 들어갈까요? 당연히 내 돈을 쓰든 남의 돈을 빌려 쓰든 사업하고 남은 이익은 다시 제 몫(주주 몫)이 될 테니까요. 

 

 

 

거래를 통해 수익 발생되었다는 것은 현금이든, 외상값(=받을 돈, 매출채권) 종이 쪼가리든, 여러 자산의 형태로 이미 재무상태표의 자산항목을 증가(변화)시켜 놓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아까 제일 위에서 말씀드렸던 자산 = 부채 + 자본의 등식을 다시 맞춰야겠죠. 먼저 이렇게 수익이 발생되어 자산을 증가시키면 그 자산이 어디로부터 나왔는지 그 출처 (내 돈인지 남의 돈인지)를 밝혀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손익계산서를 거쳐 도출된 당기순이익이 자본 내 이익잉여금이라는 계정으로 쏙 하고 들어가게 되면서 각 항의 부등호가 맞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기업은 자산의 규모를 키우면서 부채+자본의 합과 계속해서 등식을 성립하게 됩니다.

 

 

 

(정리)

1. 수익이 생기면 자본 내 '이익잉여금'으로 정보가 들어간다. 

2. 거래를 통해 수익이 발생되면 먼저 그 수익금이 자산의 어떠한 형태로 생긴다. 자산 = 부채 + 자본의 등식은, 자산 변동 이후에 손익계산서를 통해 나온 당기순이익이 자본의 이익잉여금으로 흘러들어면서 맞춰지게 된다. 

3. 재무상태표에서 부채와 자본은 자산이라는 여러 형태들이 생기는데 출자된 돈의 출처를 의미한다.

 

 

 

 

 

이익잉여금은 현금으로만 쌓여있지 않다


이익잉여금은 모두 현금?

 

 

기업이, 주주가 투자한 돈(자본금) 대비 수익이 냈다면, 이익잉여금 안에는 매년 발생되어 쌓아 놓은 많은 이익잉여금이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당기순이익이 계속 적자를 내고 있다면 이 결손금을 메우기 위해서 쌓아둔 돈을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결손금이 쌓여 자본 전체가 마이너스가 되면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가 된다고 하네요. 기업은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돈을 필요로 할 텐데 적자가 계속 나는 기업에게 금융기관(타인자본)에서 돈을 빌려주진 않겠죠. 이러한 경우 결국 기업은 주주에게 가서 돈을 달라고 할 텐데 이렇게 주주한테 돈을 달라고 하는 것을 '유상증자'라고 합니다.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것입니다. (재무상태표의 자본을 구성하는 항목을 보면 자본금이 있고 이익잉여금이란 항목이 있습니다. 이익잉여금은 기업이 돈을 벌어 쌓아 두는 곳이고, 자본금은 주주들로부터 돈을 받게 될 경우 작성되는 곳을 말합니다.) 

 

 

 

위 얘기를 종합하면 결국 이렇게 말할 수 있겠네요. 좋은 기업일수록 이익잉여금이 많을 것이고, 자본금을 적을 것이다.라고요. 자본금이 많다는 것은 형편상 금융기관에게 돈 빌릴 처지가 되지 않아서 주주들한테 돈 달라고 떼를 쓴 거니까요. 반대로 말하면 자본 전체가 거의 이익잉여금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좋은 기업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DART에서 기업의 재무제표를 열면 직관적으로 바로 파악해 볼 수 있는 step으로 '이익잉여금이 어느 정도이고 자본금 총계는 어느 정도인가'가 되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맨 아래에서 삼성엔지니어링의 것을 한번 보도록 할게요!

 

 

 

물론 이 이익잉여금은 현금으로만 구성되진 않습니다. 가령 어떠한 거래가 발생되었는데 외상으로 거래를 했을 경우, 손익계산서상에는 당기순이익으로 산출되어 이익잉여금으로 들어가 재무상태표 자본 영역에 변화를 일으키지만, 외상으로 팔았으므로 즉시 현금으로 들어오는 게 아니라 받을 돈이라고 하는 '매출채권(=받을 돈)'이라는 유동상 자산이라는 형태로 자산 쪽에 잡히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지고 있던 돈으로 기계장치를 샀다고 해도 자산의 구성(형태)이 돈에서 기계장치로 바뀔 뿐 자산의 총계는 바뀌지 않습니다. 자산의 형태만 바뀌었을 뿐 돈을 추가로 대출을 받거나 출자한 것도 아니고 손익계산서를 타기 위한 거래가 발생된 것도 아니니까 재무상태표에서 추가로 바뀌는 부분은 없습니다. 이렇듯 이 이익잉여금은 현금으로만 쌓여있는 것은 아니고, 기계장치, 재고자산 또는 매출채권 등의 형태로 자산 쪽에 묻혀 있는 것입니다. 

 

 

 

(정리)

1. 이익잉여금은 현금으로만 쌓여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 형태로 묻혀있다.

2. 자본 전체가 이익잉여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업이라면 좋은 기업이라 할 수 있다. 

   즉, 재무상태표를 볼 때, 이익잉여금과 자본총계를 같이 봐 보자! 

 

 

 

 

 

DART 재무상태표 (feat.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엔지니어링 재무상태표

 

 

삼성엔지니어링 사업보고서의 재무상태표를 한번 볼까요?

제52기가 18년도 재무상태표입니다. 자본의 이익잉여금으로 약 2300억 원이 있습니다. 자본 총계는 1조 300억 원 규모입니다. 저도 이제 막 공부하는 입장이라 이것이 어느 정도 수준인진 잘 모릅니다.  단, 아래처럼 다른 건설사들과 비교를 해서 재무상태표를 봤을 때, 삼성엔지니어링의 자본총계 대비 이익잉여금은 약 23% 정도이며, 현대엔지니어링이나 KCC의 경우 이익잉여금이 자본총계 대비 60%에 달합니다.

 

 

 

결론적으로 이것을 보면, '아! 이익잉여금과 자본이 이 정도구나. 삼성엔지니어링이 타기업과 비교했을 때, 자기 자본으로 쌓아놓은 수익이 많은 기업은 아닌 것 같다'라는 판단 정도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삼성엔지니어링

현대건설

KCC

현대엔지니어링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삼성물산

자본총계

1,033,770

8,291,856

353,618

3,383,282

1,844,364

2,317,722

22,548,935

이익잉여금

233,682

4,986,437

216,575

2,031,163

229,274

297,330

6,949,464

이익잉여금/자본총계

23%

60%

61%

60%

12%

13%

31%

18년도 12월 기준, 단위는 백만

 

 

 

 

 

 

 

 

(포스팅을 마치며)


공부를 하는 중이라 자세하게 다루지는 못했지만, 완벽한 지표는 없는 것 같습니다. 자본금 대비 이익잉여금의 비율을 높여 나갈 수 있는 상황은 가지고 있는 주식을 처분하거나, 배당을 적게 함으로써 만들 수 있는 것이니까요. 이러한 부분은 제가 추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이익잉여금과 손익계산서가 이런 식으로 연결이 되고, 직관적으로 좋은 기업일까?라는 것을 판단할 때 이익잉여금과 자본금의 비율이 어느 정도 인지를 한번 보자.라는 정도로 기억하고 있으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더불어 제가 하는 모든 이야기들은 정답이 아닐 수 있습니다. 공부 중에 있음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드립니다. 참고만 하시길 바라고 저에게 좋은 가르침을 주실 분들께서는 언제든 답변 부탁드립니다.

 

 

 

연관포스팅↓↓↓↓

2020/06/16 - [DART 기업분석] - 기업회계 재무제표에서 현금흐름표는 왜 필요할까? (feat. 발생주의, 현금주의)

2020/04/22 - [DART 기업분석] - 이연법인세 부채 의미와 필요성 그리고 분석 포인트 쉽게 알아보자!

2020/01/30 - [DART 기업분석] - 연결 재무제표? 지배회사 종속회사 관계회사 함께 쉽게 알아보자!

2020/01/30 - [DART 기업분석] - 재무제표에서 영업권이란 무엇일까?! 의미와 공식까지!

2020/01/28 - [DART 기업분석] - 자기자본이익률 ROE 무엇이지? 재무제표와 함께 알아보자!

2020/04/30 - [DART 기업분석] - 회계에서 이연법인세자산 의미와 필요성 그리고 효과 (분석포인트) 쉽게 알아보자!

2020/01/19 - [DART 기업분석] - 기업가치평가 지표 EBITDA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자!

2020/01/19 - [DART 기업분석] - EBITDA 의 의미는 대체 무엇인가? 감가상각비와 함께 알아보자 -1

 

 

 

 

(출처)

1. dart.fss.or.kr